본문 바로가기
사회이슈

서울시 무증상자 대상 코로나 무료 진단 실시 (검사비용 '0'원)

by 화성남지구인 2020. 6. 8.
반응형

서울시는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증상이 없어도 코로나 검사를 정부가 지원해주는 방안을 실시한다고 밝혔습니다.

박원순 서울 시장은 서울시 내에서 감염경로가 불분명한 산발적 감염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적극적으로 선제 검사를 하여 확진자를 가려내야 한다고 판단했다는 이유입니다. 

 

 

 

이는 흔히 말하는 '조용한 전파자'를 찾아내겠다는 겁니다. 

 

이에, 서울시에 거주하는 무증상자, 즉 증상이 없거나 감염경로가 겹치지 않아도 이제는 누구가 신청만 하면 무료로 검사를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기존에는 증상이 없는 상태에서 코로나 검사를 자발적으로 받는다고 하면 본인이 검사 비용 8만원 정도를 부담해야 하는 상황이었습니다. 

무료 검사를 받기 위해서는 의사의 진단이 있거나 또는 동선이 겹쳐서 의심군으로 분류되어야만 가능한 것이었습니다. 

 

이런 이유로 사실 깜깜이 확진자가 있어도 검사시기가 늦어지거나 본인이 무료 대상인지를 인지하지 못한 무증상 감염자에 의해 지역 내에서 전파가 이루어진다고 본 것입니다. 

 

 

 

서울시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을 받아 검사대상자가 선정되며 대상자는 지정된 시립병원에 방문해 무료로 검사를 받는 시스템입니다. 

 

무증상자가 검사를 받을 수 있는 시립병원은 서울의료원, 은평병원, 서남병원, 보라매병원, 동부병원, 서북병원, 어린이병원입니다. 

 

 

 

서울시는 매주 1000명 정도를 선정하여 무료 검사를 신청자에 한해서 실시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이는 병원에서 처리가 가능한 인원의 한계치를 고려한 수치입니다. 

 

이렇게 했을때 하반기에는 총 20만명 정도를 선제적으로 진단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진단 검사는 풀링(Pooling) 기법으로 진행된다고 하는데, 이는 각각의 검체를 채취한 뒤 5~10명의 검체를 취합해 한번에 유전자증폭(PCR)을 하는 것입니다.

 

그 결과 음성이 나오면 5~10명 모두 음성으로 판단할 수 있고 양성이 나오면 5~10명에 대해 개별검사를 진행하게 됩니다.

 

특정집단의 감염여부를 빠르게 진단할 수 있는 효과적인 검사 기법입니다. 

 

 

무증상 감염자도 진단을 실시하여 선제적으로 코로나 지역 감염을 막겠다는 박원순 시장의 의지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