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남자 지구표류기

반응형

두산중공업이 휴업에 들어갔다. 

 

과연 현 정권이 내세우는 탈원전의 희생양 1호가 된 것인가? 

 

많은 말들이 있다. 

 

 

 

 탈원전 이후 실적 곤두박질

 

원전업계에서는 당연히 문재인 정권 이후 탈원전 정책이 나오면서 두산중공업의 경영난이 악화되기 시작했다고 말한다. 

 

두산중공업 사장이 노동조합에 보낸 서신 (휴업 요청서)에도 이런 내용이 들어있다.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포함돼 있던 원자력 및 석탄화력 프로젝트들의 취소로 약 10조원 규모의 수주 물량이 증발하면서 경영 위기가 가속화됐다”



현정권의 에너지 정책은 두개의 단어로 정리된다.

 

탈원전

 

탈석탄

 

원전과 석탄화력의 비중을 줄이고 신재생에너지, 태양력과 풍력으로 대체하겠다는 것이 정부의 의지였다. 

 

이로인해 신규 원전 6기의 건설 계획이 무산되었고, 석탄화력발전소 계획 3개가 무산되었다. 

 

 

두산중공업의 실적이 악화되기 시작한 것도 이즈음이다. 

 

두산의 다른 계열사와 비교하여 두산중공업의 별도 실적은 거의 절벽에서 떨어지는 수준으로 떨어졌다. 

 

그 시작이 2017년이다. 

 



 

 

 에너지 전환 트렌드 적응 못했다는 의견도 

 

정부와 환경단체에서는 두산중공업이 탈원전 정책의 희생양이라고 불리는 것에 대해 불편하다. 

 

그리고 결코 그 이유 하나만으로 이런 공룡 대기업이 무너지는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에너지 전환이 트렌드인데, 그 부분에서 민감하게 반응하지 못한 잘못도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독일의 지멘스는 2011년 사실상 원전 관련 사업을 거의 포기하고 7000명에 달하는 인원을 감축했다.

 

그 후에 신재생 에너지에 몰두하면서 사업전환에 어느정도 성공을 한 경우다. 

 

그러나 두산중공업은 2014년 기준으로 수주 물량에서 해외 석탄화력발전소 물량이 여전히 80% 이상을 차지한다. 

 

변화 트렌드에 불감했던 부분도 일부 있었다는 말이다. 

 

 

 

 

 

 

앞으로 두산중공업이 어떤 선택을 할 것인지 어떤 길을 걸어갈 것인지 아무도 모른다.

 

그러나 정부나 환경단체의 의견이 일부 맞다고 하여도 여전히 두산중공업의 추락에서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일말의 책임도 없다고 말할수는 없다. 

 

정부 스스로가 아직 신재생 에너지 사업에 대한 포트폴리오가 갖춰지지 않은 상황에서 기업에게만 변화를 요구하는 것은 너무 억지스러운 부분이 있다. 

 

 

현재 두산중공업의 주가는 사흘간 32%까지 떨어졌다.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