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남자 지구표류기

반응형

천산갑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중간숙주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즉, 천산갑이 코로나 바이러스를 인간에게 전파했다는 말인데, 

 

중국의 화난농업대학은 연구 발표를 통하여, 

 

 

"천산갑에서 분리한 균주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99% 일치한다."

 

 

"천산갑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잠재적 중간 숙주다."

 

 

밝혔다 

 

 

 

천산갑

 

 

천산갑에서 사람으로 전파되는 경로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이번 연구결과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 및 통제에 대하여 큰 의미를 부여한다. 

 

 

 

 

 

이전에 중국과학원과 군사의학연구원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자연숙주는 박쥐일 가능성이 있다"

 

 

면서

 

 

"박쥐와 인간 사이를 매개하는 미지의 중간숙주가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이제는 그 중간숙주가 천산갑이라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다. 

 

 

 

 

 

 

 

한편 천산갑은 멸종위기종이지만 중국에서는 보양식으로 먹는 사람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천산갑 분포도

 

정력에 좋다는 등의 미신으로 인해 보양식이 되었는데,

 

 

 

 

 

 

천산갑 비늘도 밀거래 대상이다.

 

얼마전 말레이시아에서 천산갑 비늘이 밀반입 되다가 세관에 걸린 적도 있다. 

 

 

 

말레이시아 세관에 걸린 천산갑 비늘

 

 

천산갑은 주로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열대지역에 서식하는 유린목의 포유류이며,

 

 

 

 

 

 

몸에 큰 비늘이 있고 깜짝 놀라면 몸을 둥글게 마는 습성이 있다.

 

 

 

 

천산갑을 먹어보려는 사자

 

 

입에는 물었지만 먹을 방법을 몰라
천산갑 비늘을 떼보려는 사자
결국 못 먹고 구사일생한 천산갑

 

 

천산갑의 영어 이름은 'pangolin' 이다

 

말레이어로는 '구르다'라는 의미를 가지며, 이는 놀랐을 때 몸을 공처럼 마는 천산갑의 습성을 딴 것이다.

 

 

 

 

 

천산갑은 이전에는 개미핥기·나무늘보류·아르마딜로와 함께 빈치목(Edentata)으로 분류되었다.

 

그 이유는 남아메리카에 살고 있는 개미핥기와 외형상 매우 닮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천산갑은 해부학적 특징에서 빈치류와 많은 차이를 보인다.

 

 

 

 

 

성룡영화에도 등장한 천산갑

 

 

화석으로 처음 발견된 유린목은 뼈구조가 아프리카의 큰천산갑과 별 차이가 없었으며,

 

인도의 한 동굴에서 발견되었고 추정연대는 홍적세(약 1만~250만 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https://youtu.be/GaWyweLxybQ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