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연말정산을 위한 Tip. 2025년 바뀌는 공제내용
- 직장인 재테크
- 2024. 12. 7.
2025년 연말정산을 위한 Tip. 2025년 바뀌는 공제내용
이제 곧 연말정산이 다가옵니다.
올해도 역시나 많은 분들이 얼마나 뱉어낼지, 아니면 얼마나 받을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2025년엔 어떻게 연말정산이 바뀌는지를 우선 보도록 하겠습니다.
2025년에는 세법 개정 연말정산 바뀌는 것들
1. 결혼 및 출산 관련 혜택
▷ 결혼세액공제 신설: 2024년부터 2026년까지 혼인신고를 한 부부는 최대 100만 원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근로소득 또는 종합과세소득이 있는 부부 각각 50만 원씩 공제되며, 초혼 및 재혼 여부, 나이와 관계없이 생애 1회 적용됩니다.
▷ 출산·보육수당 비과세 한도 상향: 근로자 본인 또는 배우자의 출산, 6세 이하 자녀의 보육과 관련하여 사용자로부터 지급받는 급여의 비과세 한도가 월 10만 원에서 월 20만 원으로 상향되었습니다.
2. 자녀 세액공제 확대
▷ 자녀 세액공제 금액이 확대되었습니다.
첫째 자녀는 연 15만 원, 둘째 자녀는 연 35만 원, 셋째 자녀부터는 추가로 1인당 연 30만 원씩 공제됩니다.
3. 주택 관련 소득공제 확대
▷ 주택청약종합저축 소득공제 한도 상향: 총 급여액 7,000만 원 이하의 무주택 근로자는 주택청약종합저축 납입금의 소득공제 한도가 연 240만 원에서 연 300만 원으로 상향되었습니다.
▷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소득공제 한도 확대: 무주택 또는 1주택 세대주가 6억 원 이하의 주택을 취득하고 상환기간이 10년 이상인 경우, 이자 상환액의 소득공제 한도가 최대 600만 원까지 확대되었습니다.
4. 의료비 세액공제 지원 강화
▷ 산후조리원 비용 세액공제 대상 확대: 기존에는 총 급여액 7,000만 원 이하 근로자만 공제 대상이었으나, 이제 소득 기준 없이 모든 근로자가 출산 1회당 200만 원 한도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 6세 이하 자녀 의료비 세액공제: 6세 이하 자녀의 의료비에 대해 전액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5. 월세 세액공제 확대
▷ 총 급여액 8,000만 원 이하의 무주택 근로자는 월세액 세액공제 한도가 기존 750만 원에서 1,000만 원으로 상향되었습니다.
이러한 변경 사항들을 통해 2025년 연말정산 시 더 많은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으니, 미리 준비하여 최대한의 혜택을 누리시기 바랍니다.
'직장인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봉계산기 2025 사용방법 실수령액 계산방법 (0) | 2025.01.22 |
---|---|
2024년 12월 부동산 담보대출 금리 비교 (0) | 2024.12.07 |
2024 연말정산 달라지는 것들. 바뀌는 내용들 정리. (324) | 2024.01.05 |
2021년 8월 적금 이율 높은 은행 (+적금 특판 추천) (0) | 2021.08.12 |
곱버스란? 곱버스 뜻 투자방법 정리 (1) | 2021.08.09 |